labeled :: '삼성 파운드리 수혜주'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드디어 오매불망 기다리던 삼성전자의 인텔 파운드리 수주 소식이 날아왔습니다.

인텔이 과연 TSMC를 놔두고 삼성전자에게 파운드리 물량을 줄까 싶었는데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오스틴 공장을 통해 14mm 사우스브릿지 또는 GPU 물량을 받은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언론마다 달라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하반기부터는 바로 생산에 들어갈것 같습니다.

삼성의 파운드리 관련주로 언급되는 에이디칩스는 거래량이 1억주가 넘어가며 상장이래 최대거래량을 보여줄정도로 삼성의 파운드리 수혜주들은 하루종일 불을 뿜어냈습니다.

 

대만의 TSMC가 애플의 아이폰 파운드리 수주를 도맡으며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는 현재 삼성이 드디어 인텔의 GPU 파운드리 수주를 따내며 과거 메모리반도체 패권을 두고 치킨게임을 벌여 미국,일본,대만의 기라성같은 업체를 모조리 파산시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관 최강자로 올랐는데 이제는 시스템반도체의 파운드리 시장을 두고 TSMC와의 길고 긴 파운드리 전쟁에 돌입한것 같습니다.

 

 

 

 

표를 보시다시피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대만의 TSMC가 50프로를 넘기며 사실상 패권을 가져간것처럼 보이지만 이재용 부회장께서 시스템반도체 시장을 위해 100조를 투자하겠다고 공언하며 원익IPS, 에스에프에이,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등등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인 협력업체와 손발을 맞추며 현재 20프로에 가까운 점유율을 눈앞에 두며 tsmc 추격에 나섰습니다.

 

 

 

6만원대의 전고점을 뚫지못하며 몇년간 박스권에서 횡보하였던 삼성전자의 주가 역시 2021년 급등하며 전고점을 96800원 시가총액 600조를 넘겼다가 현재는 기간조정을 거치고 있지만 인텔에서 의미있는 GPU 파운드리 수주를 따내며 전고점을 넘어 시가총액 1000조에 도전할수 있는 재료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표를 보시면 알겠지만 2022년 피크를 찍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파운드리 시장은 지속적으로 규모가 늘어날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인텔의 파운드리 수주이후 퀄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와의 파운드리 수주가 예상되기 때문에 2018년 반도체 초호황 시기에 매출 240조 영업이익 58조로 전세계 영업이익 2위에 올랐던 시기에 필적할만한 매출과 영업이익을 다시한번 기대할만합니다.

 

지난 1월 4일 이재용 부회장께서 평택 2공장 파운드리 생산설비 반입식에 참석하였습니다.

평택 2공장은 D램, 차세대 V낸드, 초미세 파운드리 제품까지 생산하는 생산라인으로 2020년에는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였고 2021년 올해 파운드리 생산을 위한 설비반입을 하였습니다

 

특히나 이 반입식에서 눈여겨 보셔야 할것이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의 대표님께서 참석하셨다는 겁니다.

원익IPS의 이용한 회장, 피에스케이 박경수 부회장, 동진쎄미켐 이준혁 부회장, 솔브레인 정지완 회장께서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자리하였다는 것인데 공식석상에서 노출되었다는것은 두말할것 없이 중요한 메세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재용 부회장께서는 짧지만 강한 메세지도 남겼습니다.

'삼성과 함께 도약하자. 함께 하면 미래를 활짝 열수있다. 삼성전자와 협력회사, 학계, 연구기관이 협력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시스템반도체에서도 신화를 만들자'

 

 

인텔의 파운드리 수주를 따내며 삼성전자의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LG전자가 기존의 백색가전 회사에 머물며 주가는 항상 저평가 받아왔지만 스마트폰(MC) 사업부를 매각하기로 결정하고 전기차라는 새로운 미래먹거리에 올라타자 주가는 엄청난 멀티플을 받으며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메모리반도체, 백색가전,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에서 전세계 최강을 자랑하였지만 새로운 미래먹거리가 없어서 주가가 항상 6만원대의 고점에서 내려왔는데 이번 인텔의 파운드리 수주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전기차배터리, 5G 라는 새로운 미래먹거리를 추가하며 이제 시가총액 1000조에 도전할만한 준비가 된것 같습니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습니다. 

삼성전자는 인텔의 파운드리 수주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시장 개화기에 진입했으며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기업들

원익IPS,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피에스케이, 와이아이케이, 에스앤에스텍 등등 삼성의 1차벤더는 시스템반도체의 수혜주로서 어마어마한 혜택을 누릴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관련주는 개미투자자에게 너무나도 유명한 대장주 엘비세미콘, 네패스, 네패스아크,한미반도체가 있습니다

흔히 OSAT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라고 불리우는데 대만의 TSMC의 전담 OSAT가 TSMC의 성장과 함께 세계1위에 오른만큼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전담 OSAT역시 지속적으로 우상향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 지켜보셔야 됩니다.

다만 지금은 반도체 후공정 관련주 보다는 전공정 관련주의 매출이 크게 늘어날것으로 예상합니다. 2017년 이후 메모리반도체 슈퍼싸이클이 돌아온 현재 특히나 EUV노광장비 국산화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큰 이슈가 될수 있기때문에 동진쎄미켐, 에스앤에스텍처럼 EUV 노광장비 수혜주는 끊임없이 트래킹하며 눈여겨봐야 할것 같습니다.

 

인텔의 사운드 브릿지를 위탁생산하며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페이즈1이 시작되었습니다.

조금은 상상력을 발휘해보자면 페이즈2는 인텔과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GPU와 CPU를 위탁생산하고 페이즈3는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 LG 하이닉스와 어벤져스를 만들어 자율주행 전기차 시대에 걸맞는 제품의 파운드리를 맡는것입니다.

애플은 LG, 현대기아차와 접촉을 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GM과 전기차생산을 위해 자회사를 만들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미 하만이라는 세계 최고의 전장업체를 보유중인데 과연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이 잠식되는것을 가만히 두고만 있을까요?

여러분들은 삼성전자가 열어준 새로운 미래에 투자할 준비가 되셨습니까

 

반응형
Posted by UNLABELED :
반응형

2020년 삼성전자는 팔만전자로 끝내며 BBIG 바이오 배터리 인터넷 게임의 주도주가 반도체로 순환매가 도는듯한 분위기 입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D램과 플레시 메모리 위주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백색가전, 휴대폰이 포트폴리오의 핵심이었는데 사실상 미래성장성이 답보된 상태여서 소위말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제재를 받는 종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재용 부회장께서 하만을 인수하며 기존의 포트폴리오에 전장사업 즉 자율주행 전기차가 추가되었고

대만의 TSMC가 휩쓸고있는 파운드리와 시스템반도체에 100조이상의 투자를 공언하며 메모리반도체라는 한쪽 날개로 날던 삼성은 시스템반도체 즉 파운드리와 LSI 라는 또 다른 날개를 달며 명실상부 종합반도체 회사로서 온전히 날수 있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5G 통신장비 세계1위였던 화웨이가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에 의해 제재가 가해지며 삼성전자가 온전히 혜택을 누릴수 있게되었습니다.

이미 미국의 버라이즌과 8조원의 5g통신장비 계약을 하였고 차후 AT&T, T-Mobile과의 계약도 삼성전자가 차지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이렇듯 삼성전은 이제 메모리 반도체, 파운드리와 LSI의 시스템반도체, 5G통신장비, 전장사업, 전기차배터리, 디스플레이, 백색가전, 휴대폰이라는 포트폴리오를 꾸미며 삼성의 주주들은 마치 ETF처럼 카테고리의 1,2위 회사를 한꺼번에 매입하는 효과를 누리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고 덩치도 큰것이 시스템반도체인데 특히나 후공정보다는 전공정이 규모가 큽니다.

인텔이나 엔비디아가 삼성에 파운드리를 맡길경우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 역활을 하는 원익ips, 에스앤에스텍 같은 장비 증착업체에서 대규모 매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파운드리가 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식당으로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내가 돼지국밥집을 하고 있는데 기존에 100명이 오면 만석인 것을 1000석으로 생산량 CAPA을 늘릴려 한다면 식당의 규모를 늘리게 위해 여러 곳에 투자를 해야되겠죠?

국을 끓여낼 큰솥, 밥을 지을 밥솥, 재료를 보관할 냉장고, 1인분씩 끓여낼 가스레인지 등이 전공정에 해당하겠고 후공정으로는 국그릇, 밥그릇, 테이크 아웃용 플라스틱 통, 음식을 담아갈 비닐봉투, 1회용 수저 등이 되겠죠

소재 부품으로는 돼지뼈, 김치 담그는데 필요한 배추, 고추가루, 소금 밥 지을때 필요한 쌀 정도로 비유를 들수 있겠고

부품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집게,도마,칼 등이 되겠죠

 

단가가 비싼 전공정은 생산량CAPA을 늘릴때 큰 규모로 매출이 늘어납니다 대신에 그 싸이클이 끝나면 좀 쉬는 분위기죠

돼지국밥을 끓일 솥을 매년 꾸준하게 사지는 않잖아요 식당의 케파 capa가 한정되어 있는데 솥 1개로 충분히 100명의 돼지국밥을 만들수 있지만 1000명의 규모로 케파를 늘린다면 전공정 업체에 연락해서 돼지국밥을 끓일 솥 3개는 주문하겠죠 

 

후공정으로 예를 든 테이크 아웃용 플라스틱 통과 비닐봉투는 재고가 떨어지면 계속 발주를 하죠 대신 가격이 쌉니다.

 

전공정 후공정이 무엇인지 이해가 되었는데 그러면 파운드리가 무었이냐 라고 물으시면 또 식당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파운드리란 주방은 가지고 있지만 식당영업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신 팹리스 고객이 원하는 대로 음식을 만들어서 포장하고 배달까지 해 주는거죠

 

근처에 규모가 작은 사찰에서 다음달 1000명의 스님들이 모여 식사를 하게 되었는데

불교에서 금하는 오신채를 재외한 재료로 만들 레시피를 드릴테니까 도시락으로 만들어주세요 라는 주문이 들어오면

거기에 맞춰서 요리하고 포장하고 배달까지 해주는게 파운드리 입니다.

그런데 기존의 케파로는 1000명이 먹을 음식밖에 만들지 못했는데 10000명이 먹을수 있도록 생산량을 늘리겠다면

전공정 업체에 연락해서 솥, 냉장고, 가스렌지 장비들을 대량으로 발주하고 소재 부품 후공정 업체에 연락해서 도시락통, 비닐봉투 ,숟가락 등등도 사야겠죠  

오신채를 제외한 특별한 식재료 예를들면 연근찹쌀찜, 들깨연잎칼국수, 더덕잣즙무침은 기존의 장비가 아닌 EUV 노광장비를 구매하여 만드는 거구요

 

여기서 사찰은 팹리스 업체인 애플,엔비디아가 되겠고

고객이 원하는대로 음식을 만들어주는 주방은 파운드리 회사인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가 되겠죠

기본적으로 필요한 냉장고, 솥, 가스렌지를 만드는 장비 회사는 원익IPS, 테스, 유진테크, 리노공업

주방에서 사용될 집게, 도마, 칼을 만들어주는 부품 회사는 티씨케이, 원익쿼츠, SKC솔믹스

배추, 나물, 연잎, 찹쌀 같은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 회사는 동진쎄미켐, 에스앤에스텍

일회용 수저, 도시락통, 포장용지 등으로 마무리를 해주는 후공정인 하나마이크론,한미반도체,테스나,네패스,네패스아크 등이 되겠죠

 

 

최대한 쉽게 이해가 되도록 적어봤는데 적절한 비유가 되었나요?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관련주로 꼽히는 업체들 중 직접적인 수혜를 받는 전공정 후공정 회사를 보면 전공정 관련주에 해당하는 원익IPS 솔브레인 리노공업 등이 시가총액이 2조가 넘어갑니다 매출이나 영업이익도 어마어마하구요 

 

후공정 업체를 자세히 살펴보면 시가총액 3000억 미만의 회사들이 많이 보입니다 매출도 전공정 업체와 비교하면 반의 반 이하인 회사도 많구요 아직까지는 규모면에서 전공정 관련주에 비해 후공정 관련주가 약해보입니다.그렇지만 뒤집어 말하면 삼성전자가 파운드리에서 어느정도 TSMC를 따라잡게 되면 후공정 관련주의 성장성이 전공정 관련주보다 더 크다는거겠죠

OSAT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불리우는 후공정 관련주에서 테스트를 담당하는 업체들은 삼성전자가 파운드리에서 수주를 하면 할수록 매출과 영업이익은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되니까 눈여겨 보셔야 됩니다.

OSAT의 대표적인 관련주는 테스나,네패스,네패스아크,한미반도체 입니다.

 

 

이미 2020년 일본의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규제를 통하여 소재 부품 장비의 국산화 수혜주 특히나 EUV 노광 펠리클이 이슈화 되며 에스앤에스텍과 동진쎄미켐 리노공업은 어마어마한 시세를 뿜어내고 현재는 기간조정을 거치고 있지만 11월 이후 와이아이케이 디앤에프 이앤에프 피에스케이 엘비세미콘 네패스 테스나 테크윙 유니셈 등등 시스템반도체 소부장 관련주가 불을 뿜고 있습니다.

특히나 삼성전자 1차벤더중 소재 부품 장비를 납품하는 1티어 소부장 기업은 아예 삼성전자가 지분을 취득하며 사실상 삼성의 계열사가 되어버린곳도 있습니다

 

 

 

 

원익IPS, 에스에프에이(SFA),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와이아이케이, 에스앤에스텍, 엘오티베큠,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뉴파워프리즈마

 

위의 종목들은 삼성전자가 시스템반도체 시대를 준비하며 지분투자한 소재 부품 장비의 대표적인 수혜주 입니다.

특히나 이재용 부회장께서 네덜란드 직접 날아가 ASML의 EUV노광장비 확보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는만큼 EUV 관련주는 계속해서 눈여겨 보셔야 됩니다. EUV 노광장비는 시스테반도체 전공정 관련주로 볼수있겠죠.

그리고 삼성의 파운드리 관련주로 기사를 찾아보면 자주언급되는 반도체 설계업체 에이디칩스가 국내 유일 삼성 파운드리 사업 파트너로 검색이 되기때문에 눈여겨 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8&aid=0004532660

 

삼성전자-인텔 계약의 '찐' 수혜주는 따로 있었다

[머니투데이 강민수 기자] [[오늘의 포인트]] 삼성전자와 인텔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 소식의 수혜주는 삼성전자가 아니라 반도체 장비주였다. 인텔 CEO(최고경영자)의 불확실한 발언

news.naver.com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와 인텔의 CPU, GPU 파운드리를 맡기 시작하면 대만의 TSMC가 파운드리를 독식하고 있는 것을 깨뜨리는 중요한 분기점이 됩니다.

특히나 이재용 부회장께서 시스템반도체에 100조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공언한것은 사실상 파운드리에 투자를 하겠다는 뜻이기 때문에

EUV국산화 이슈가 나오는 전공정 업체부터 삼성이 혼자 감당할수 없을테 위탁 생산을 맡을수 있는 파운드리 업체를 잘 살펴보셔야 됩니다.

전공정 관련주 중에서는 3D낸드, 후공정 관련주 중에서는 OSAT가 핵심입니다.

 

개별 종목의 재무재표와 특성을 잘 찾아보시고 2021년 증시를 주도할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의 개화를 온전히 누릴수 있는 소부장 관련주에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UNLABEL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