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eled ::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대장주'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2021년 드디어 역사적인 코스피 3000을 밟아보게 되었습니다.

물론 장중에 3000을 돌파한후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로 지수가 빠졌지만 개인들이 2조원이라는 물량으로 받아내며 사실상 보합으로 만들었는데 정말 대단한것 같습니다.

연말부터 사실상 매일 1조원에 가까운 총알이 들어오면서 지수를 바쳐주고 있는 모습을 보니 이게 유동성 강세장이구나 하는걸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2020년 삼성전자는 8만원을 돌파하며 팔만전자로 장을 마감하였는데 2021년도 그 시세가 꺾이지 않으며 시가총액 500조를 드디어 돌파하였습니다. 누가 뭐라고 해도 대한민국의 전체 장을 이끄는 대장주는 삼성전자 라는것을 리마인드 할수 있었습니다.

 

 

삼성전자를  항공모함으로 비유를 들수 있다면 그 삼성을 둘러싼 호위함이 전공정과 후공정의 대장주 입니다.

특히나 이번에 평택2공장의 파운드리 생산설비 반입식에 이재용 부회장께서 참석하셨는데

원익IPS 이용한 회장, 피에스케이 박경수 부회장 ASML코리아 이우경 대표, 동진쎄미켐 이준혁 부회장, 솔브레인 정지완 회장까지

삼성전자의 핵심 1차벤더 대표님들께서 모두 참석하였습니다.

삼성의 평택2공장은 D램, 차세대 V낸드, 초미세 파운드리 까지 삼성전자의 핵심이 되는 반도체 제품을 만들어 내는 사업장입니다.

 

삼성전자가 인텔이나 엔비디아의 파운드리 수주를 받기 위한 시스템반도체 시대를 준비하며 지분투자한 소부장 회사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핵심이며 시가총액이 높은 회사인

원익IPS 솔브레인 동진쎄미켐의 대표님들께서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공식석상에서 언론에 노출된 것은 굉장히 중요한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이재용 부회장께서

"삼성과 협력회사, 학계, 연구기관이 협력해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 시스템반도체 신화를 만들자"

라고 하였는데 백색가전, 휴대폰, 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라는 기존의 삼성전자 포트폴리오에 전장, 전기차배터리, 5G 그리고 가장 중요한 시스템반도체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상황에 삼성뿐만이 아니라 소재 부품 장비 관련주로 지목되는 회사들까지 파운드리로 대표되는

시스템반도체가 미래먹거리 라는 것을 보여주는 짧지만 인상깊은 인터뷰였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는 반도체의 거인 인텔과 엔비디아의 물량이 대부분 대만의 TSMC로 몰빵되며 파운드리 시장의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며 삼성이 따라잡는게 버거워 보이는건 사실입니다만 2020년부터 퀄컴, 구글, 시스코, IBM, 엔비디아에서 의미있는 수주를 따내며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의 힘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만약 삼성이 인텔에서 CPU 파운드리 사업을 수주한다면 파운드리 전체 판도의 굉장히 중요한 분기점이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이 인텔이나 애플에서 CPU파운드리 수주를 한다면 시총 650조에도 도전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파운드리를 포함한 시스템반도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공정 후공정 관련주는위에 언급했던 원익IPS 동진쎄미켐 솔브레인이지만

실핏줄처럼 여기저기 연결된 회사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리고 후공정보다는 전공정에 소부장 대장주가 모여 있습니다.

 

 

반도체 정공정 장비는 기본적으로 노광-증착-식각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소재 부품 장비를 의미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라는 반도체 제조사가 얼마나 투자를 하느냐에 따라서 소부장 관련주의 매출이 달려 있는데

삼성이 시스템반도체를 위하여 130조를 투자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사실상 소부장 관련주에 빅싸이클이 왔다고 보는것이

합당해 보입니다.

네덜란드의 슈퍼을 ASML에서 제작하는 EUV 노광장비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국산화가 100프로 가까이 되었기에

코스피에 상장된 소부장 전공정 후공정 대장주는 온전히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관련주로 분류 될수 있습니다.

 

 

특히나 작년 일본의 느닷없는 반도체 핵심소재 품목 포토레지스트, 불화수소,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규제 이슈가 터지면서

삼성과 SK하이닉스가 큰 어려움에 처할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한 분야를 깊게 파버리는 장인정신 혹은 오타쿠 문화가 깔려있는 일본이 소재 부품 장비에 관해서는 세계 최고니까요

그러나 이러한 예상을 깨고 오히려 EUV 노광장비 수혜주 이슈를 타고 동진쎄미켐과 에스앤에스텍은

그동안 쌓아왔던 잠재력을 드러내며 어마어마한 시세를 뿜고 2020년 삼성이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의 대장주 역활을 하였습니다.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와이아이케이, 에스앤에스텍, 엘오티베큠,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뉴파워프리즈마, 원익IPS, 에스에프에이(SFA)는

삼성이 지분투자를 하였기에 사실상 삼성의 계열사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2020년에 이어 2021년의 주도주는 누가 뭐라고 해도 삼성의 시스템반도체 관련주가 될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인텔이나 엔비디아가 사실상 팹리스로 전환하며 모든 물량을 대만의 TSMC나 삼성전자에 파운드리를 맡길것이 확실시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삼성이 지분투자한 소부장 기업의 행보를 항상 잘 살펴보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특히나 아직까지 국산화가 이뤄지지 않고있는 EUV노광장비는 이재용 부회장께서 네덜란드까지 직접가서 ASML의 EUV노광장비를 수입하기 위해 엄청난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EUV노광화 장비 국산화의 혜택을 누릴수 있는 소부장 관련주를 공부하시고 미리 선취매 하셔서 기다리는 것도 좋은 투자라 생각합니다.

모두들 성투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UNLABELED :
반응형

 

삼성전자가 팔만전자가 되며 2020년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파운드리, 5g, 시스템반도체는 삼성의 미래먹거리로 100조 이상이 투입될 예정이라고 이재용 부회장이 공언을 한 상태입니다.

D램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의 시스템 반도체 혜택을 온전히 누릴수 있는 정공정 후공정 소부장 관련주를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1차벤더 소부장 관련주는 대부분 국산화가 이루어져 있고 삼성과 하이닉스에만 제품을 제대로 납품해도 매출이 조단위로 발생합니다.

원익IPS나 에스에프에이 솔브레인 같은 반도체 전공정 대장주가 사실상 전세계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 역활을 하고 있습니다만 유독 EUV 노광장비는 국산화가 더딘 편입니다.

 

EUV노광장비 관련주는 이재용 부회장께서 네덜란드에 위치한 ASML에 직접 가서 EUV 노광장비를 확보하기 위해 사활을 건만큼

그 희소성 때문에 EUV 노광장비 국산화 이슈를 타게되면 2021년 주도주의 역활을 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습니다.

 

반도체 전공정 관련주 특히나 EUV 노광장비 대장주인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은 2020년 소부장의 대장주 역활을 하고

현재 기간조정을 거치고 있는데 EUV 국산화 이슈가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에 2021년에도 계속해서 모니터링을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블랭크마스크, 포토공정용 감광액을 메인으로 만드는 두 업체는 EUV 노광장비 국산화에 가장 가까운 회사에 틀림없으니까요

 

 

 

2020년 일본이 반도체, 디스플레이에 쓰이는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를 단행하였고 반대급부로 국산화 비율이 높은 소재 부품 장비

일명 소부장 기업중 EUV노광장비 수혜주 이슈를 타고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 리노공업 등이 대장주로서 어마어마한 시세를 뿜어낸뒤 현재는 기간 조정을 거치고 있는데 최근에는 와이아이케이 네패스 테스나 테크윙 피에스케이 유니셈 엘비세미콘 등등 시스템반도체 소부장 관련주가 시세를 뽑아내고 있는데 아래 표를 잘 살펴보시고 기간 조정을 거치고 있는 파운드리 대장주를 찾아내 미리 투자하는것이 현명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위의 반도체 전공정 관련주에서 대장주 역활을 하는건 역시나 위에서 언급하였던 동진쎄미켐, 에스앤에스텍, 원익IPS, 솔브레인 입니다

 

 

 

반도체 후공정 업체중에서 대장주 역활은 와이아이케이, 네패스, 테스나, 엘비세미콘 정도가 되겠구요

나는 전공정 후공정 이런거 골치아프니까 잘 모르겠다

삼성이 직접 지분 투자한 소부장 관련주는 없냐고 물으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이 지분투자한 소재 부품 장비 관련주 입니다.

 

솔브레인, 에스에프에이(SFA), 원익IPS, 동진쎄미켐, 에스앤에스텍, 와이아이케이, 엘오티베큠,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뉴파워프리즈마

위의 소부장 관련주의 이름은 계속해서 기억해야 됩니다.

특히나 모회사 에스에프에이(SFA)의 지분을 취득하였기에 자회사인 SFA반도체는 삼성의 직접접인 영향을 받을수밖에 없고 삼성의 M&A이슈에 한발 걸칠수도 있습니다.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원익IPS 에스에프에이(SFA) 솔브레인 동진쎄미켐이 삼성전자가 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가 되겠네요

 

상대적으로 후공정 업체보다는 전공정 업체가 시가총액과 매출이 높고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계속해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삼성의 시스템반도체 미세화 공정에 반드시 필요한 EUV 노광장비 관련주 중에서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수 있는 대장주인 에스앤에스텍, 동진쎄미켐은 항상 잘 살펴보셔야 합니다

소부장 관련주는 대부분 국산화가 완료되었지만 유독 EUV노광장비는 국산화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이재용 부회장께서 대만의 파운드리 대장주 TSMC를 잡기위해 네덜란드로 날아가 ASML의 EUV노광장비 확보에 사활을 건만큼

EUV노광장비를 국산화 시킨 소부장 관련주가 나온다면 전공정 관련주 중에서 독보적인 대장주 역활을 할수도 있습니다.

 

2021년의 주도주는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이슈와 더불어 삼성이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가 그 수혜를 입으며

코스닥 지수를 이끌어 나가는 대장주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재무재표는 기본적으로 공부하시길 바라며 전공정 후공정 가리지 말고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소부장 관련주에 투자하셔서 모두들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UNLABELED :
반응형

2020년은 동학개미들의 엄청난 물량으로 코스피 지수 2800이라는 미지의 영역을 뚫었습니다

3월 저점이후 2차전지, 언택트의 대장주인 LG화학 삼성SDI 카카오 네이버 같은 주도주에 투자를 하신 투자자는 100, 200프로는 우습게 나왔고 11월 이후로 코스피 지수를 움직일수 있는 대장주 삼성전자 하이닉스만 가지고 있었어도

30프로 이상의 수익률은 안정적으로 낼수있는 어마어마한 장이었죠

2021년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전공정 대장주에 대해서 몇가지 올려봅니다

삼성전자가 지분투자를 하였기에 사실상 삼성의 계열사라고 봐도 무방한 종목들이고 저 역시 조금씩 담고 있습니다만 투자는 본인의 선택이고 그 선택에 책임을 지는 것이기에 이걸보고 영혼을 끌어다가 몰빵하셨다가 낭폐를 보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대만의 TSMC가 인텔과 엔비디아의 파운드리를 모조리 가져가며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는 힘을 쓰지 못하던 삼성이 메모리 반도체에 이어 시스템반도체 특히나 파운드리 물량을 가져오기위해 지분투자한 반도체 전공정 관련주가 있습니다.

삼성이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 역활을 하는 동진쎄미켐과 에스앤에스텍은 2020년 일본의 아베내각에서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을 조준하여 핵심소재 수출규제라는 이름으로 정밀 타격을 단행하였는데 소재 국산화, EUV 노광장비 국산화 버프를 받으며 어마어마한 시세분출을 하며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2020년 코스닥 대장주 역활을 하였고 지금은 기간조정을 거치며 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재용 부회장께서 대만의 파운드리 대장주 TSMC를 잡기 위해서 100조 이상의 투자를 공언한만큼 삼성의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에 해당하는 업체들은 매출과 영업이익은 계속 늘어날 예정이니 장기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래나 저래나 별 상관 없을것 같습니다

특히나 인텔과 엔비디아가 사실상 팹리스 형태로 전환하며 모든 물량을 파운드리로 돌릴 예정이니만큼 삼성이 TSMC와 함께 파운드리라는 중원을 놓고 반도체 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와이아이케이, 에스앤에스텍, 엘오티베큠,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aka 코미코, 뉴파워프라즈마

삼성전자와 함께하는 대표적인 소부장 관련주 및 EUV노광장비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가 나올 확률이 높은 회사들입니다.

현재 솔브레인은 지주회사격인 솔브레인 홀딩스 036830, 인적분할로 상장된 솔브레인 357780

2종목이 있으니 살펴보시고 투자하시기를 바랍니다

 

 

 

 

에스에프에이(SFA) ,원익ips

 

삼성전자와 비상장회사인 삼성디스플레이에서 2종목에 지분 투자를 하였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에스에프에이의 역사는 조금 재밌는데 원래 삼성항공(현재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물류사업부가 분사하여 이름을 바꾼것이기 때문에 삼성과 인연이 깊은 정도가 아니라 삼성에서 태어난 회사죠

원익ips 같은 경우 솔브레인과 마찬가지로 원익홀딩스에서 인적 분할된 회사인데 원익의 계열사가 코스닥에 상당히 많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원익홀딩스, 원익, 원익Qnc, 원익머트리얼즈, 원익ips, 원익큐브

 

원익의 계열사들은 전세계 반도체 최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탑티어 1차벤더 입니다

각 회사마다 반도체 ,2차전지의 소재, 부품, 장비를 생산하니 투자하시고 싶은 섹터를 잘 분석하여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와이아이케이

에스앤에스텍

엘오티베큠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비상장)

뉴파워프라즈마

에스에프에이

원익ips

 

위에 언급된 10종목이 언론에 노출된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입니다.

특히나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는 위의 종목들에 전부 포함되어 있으니 항상 눈여겨 보셔야 됩니다.

코스닥에 상장된 회사도 있고 비상장 회사들도 있지만 대부분 상장 되어 있기에 투자하시기엔 무리없을것 같습니다

삼성이 투자한 소부장 관련주에서 대장주 역활을 할수 있는건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솔브레인 동진쎄미켐 원익ips가 되겠네요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는 대부분 국산화가 이루어 졌지만 EUV노광장비는 유일하게 네덜란드의 ASML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께서 시간만 나면 네덜란드로 날아가 ASML의 EUV노광장비를 수입하기 위해서 공을 들이고 있는만큼

우리나라의 반도체 전공정 관련주 중에서 EUV노광장비 국산화가 가능한 회사에 대해서 공부하시고 미리 선취매 하시는 것도

좋은 투자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2021년은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개화기에 해당합니다.

특히나 인텔과 엔비디아의 파운드리 계약을 수주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대규모 시스템반도체 투자를 예고한만큼 삼성전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시스템반도체 관련주중에서 특히나 시가총액이 큰 전공정 업체는 2021년 주도주 역활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전자가 지분투자한 소부장 관련주 특히나 EUV노광장비 관련주는 포트폴리오에 반드시 편입해야 된다고 생각되며 재무재표는 기본적으로 살펴보시고 반도체의 전공정 후공정 관련주 중에서 어느쪽에 해당하는지 리서치 하시고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Posted by UNLABEL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