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12321172
LG에너지솔루션, 2조원 받고 SK와 배터리분쟁 끝냈다(종합)
SK, 현금 1조원·로열티 1조원 지급…"10년 간 추가 쟁송 않기로" 미국 대통령 거부권 시한 하루 전 극적 타결…바이든 정부 적극 중재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
news.naver.com
도저히 끝날것 같지 않아 보였던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배터리 소송이 극적인 합의로 막을 내렸습니다.
4월 12일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하루 앞두고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은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진행되던 전기차 배터리 소송을 종식하기로 합의했다고 언론을 통해 특보가 나오고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블로그에도 언급했었지만 100프로 현금보다는 어떤식으로든 현금+알파 형태로 양사에 소재나 로얄티를 제공하는 방식의 합의를 볼것 같다고 했었는데 예상한대로 SK이노베이션은 엘지 에너지 솔루션에 현재가치 기준으로 총액 2조 (현금1조원+로열티 1조)를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SK이노베이션 LG화학 양사는 국내외 소송을 모두 취하하고 향후 10년간 추가 소송도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합니다.
LG화학, SK이노베이션 대표님들의 인터뷰를 보면 한미 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전한 경쟁과 우호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으며 특히 미국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강화 및 이를 통한 친환경 정책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 합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주신 한국과 미국 정부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하였습니다.
전통적으로 인화정책을 펼치기로 유명한 LG답게 엘지 에너지 솔루션의 언론발표문을 보면 공정경쟁과 상생을 지키려는 당사의 의지가 반영됐다고면서 자동차 배터리 관련 지식재산권이 인정받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고 이번 합의를 통해 폭스바겐과 포드를 포함한 주요 고객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고, SK이노베이션의 조지아 공장도 정상적으로 운영이 가능하게 되어 양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공존하며 선의의 경쟁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이제 흔히 말하는 배터리 3대장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는 서로 경쟁과 상생을 하며 핵심 미래먹거리인 2차전지에 올인을 하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CATL과 일본의 파나소닉과 엎치락 뒤치락 하며 1위 자리를 경쟁하고 있는 LG화학과 바로 그 뒤를 쫒고 있는 삼성SDI와 SK이노베이션은 전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배터리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계열사들과 배터리 소부장 회사들이 실핏줄처럼 연결되어 뒤에서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어느 시점이 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패권을 잡으며 전세계 수급을 조절하는 것처럼 2차전지 시장 역시 3사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차전지의 핵심인 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모두 우리나라의 배터리 소부장 회사들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2차전지에서 가장 높은 단가를 차지하는 양극재를 생산해내는 삼대장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칼,엘앤에프는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에 골고루 납품을 하며 최종 목적지인 전기차 양산업체 테슬라,폭스바겐,현대기아,GM,포드,BMW 등등에 전부 납품을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순수 2차전지 회사로 분할되는 엘지 에너지 솔루션과 별개로 LG화학은 양극재 생산 업체로 거듭날수 있기에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 모두 단순하게 2차전지 회사보다는 소재도 함께 생산하는 회사로 봐도 될것 같습니다.
반도체, 2차전지의 생태계는 한국의 회사들이 없으면 멈춰버릴수 있을만큼 우리나라가 세계관 최강자 입니다. 주모 국뽕 한사발!
전기차배터리의 가장 큰 리스크인 화재사고는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의 분리막의 퀄리티에 따라 결정이 되는데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분리막은 전세계 최강의 업체이며 LG화학이 배터리 특허 소송중에도 SK이노베이션의 분리막을 사용할 정도로 사실상 대체불능의 영역까지 왔는게 현실입니다.
늦어도 내년까지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상장이 예상되는데 공격적으로 CAPA를 늘리고 있기에 지속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예상됩니다.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하는 중국과 일본의 회사는 많지만 상대적으로 분리막회사는 아직까지 눈에 띄게 없기에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계속해서 주목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배터리삼대장 LG화학, SK이노베이션, 삼성SDI부터 전기차배터리 소부장 관련주 중에서 대장주 역활을 하고 있는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포스코케미칼,일진머티리얼즈,SKC,피앤티,천보,솔루스첨단소재 등등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회사들을 잘 찾아보고 투자하셔서 모두 경제적 자유를 누리시길 희망합니다.